미숙아 보육기 뜻
- 미숙아: 미숙-아【未熟兒】 [미:-][명사]《의학》 달을 못 채우고 태어났거나, 태어났을 때 몸무게가 2.5kg이 못 되는 아이.
- 보육기: 보육-기【保育器】 [보:-끼][명사]태어날 때 몸무게가 2.5kg이 안 되는 건강하지 못한 아이를 넣어 좀 더 자라게 하는 특수 기구. = 인큐베이터.
- 육기: I 육기1 【六氣】 [-끼][명사]1 중국 철학에서 말하는 여섯 가지 기운. 곧 그늘, 볕, 바람, 비, 어둠, 밝음, 또는 추움, 더움, 마름, 습함, 바람, 비.2 사람몸의 여섯 가지 기운. 곧 좋음, 미움, 기쁨, 성남, 슬픔, 즐거움.I I 육기2 【肉氣】 [-끼][명사]1 = 살기1 .2 = 육미2 (肉味).
- 보육: 보육【保育】 [보:-][명사]보호하여 기름.* 고아~ 사업.[파생동사] 보육-하다
- 미숙: 발달초기; 유치; 미발달
- 성숙아: 성숙-아【成熟兒】[명사]《의학》 임신 10개월 뒤에 분만된 아이. 신체 각부와 내장 기능이 스스로 생활을 할 수 있는 정도로 발육되고, 몸무게 2.8kg~3kg, 키 48~50cm에 이른다. [참고] 조산아.
- 발육기: 발육-기【發育期】 [-끼][명사]= 성장기(成長期).
- 육기 좋다: 몸이 보기 좋을 만큼 통통하다.
- 육기통: 육-기통【六氣筒】 [-끼-][명사]기통(실린더) 여섯 개를 갖춘 엔진.
- 보육원: 보육-원【保育院】 [보:-][명사]맡아 기를 사람이 없는 어린아이들을 받아들여 기르며 가르치는 곳. (고아원).
- 미숙한: 경험 부족의; 미경험자
- 미숙함: 신기함; 새로움
- 보육원 아동: 원아; 취학 전의 아동; 보모
- 보육하다: 보육-하다【保育하다】 [보:유카-][타동사]〖여불규칙〗⇒ 보육(保育).
- 미숙련 노동자: 갑판원; 평선원; 항만노동자